본문 바로가기

자기 성장/공부법 61

자녀 공부를 살리는 올바른 아빠의 역할 - 공부 잘하는 아이 만들기 #2 안녕하세요~ 여러분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굿메신저 입니다. 오늘은 아이의 공부를 살리는 아빠의 역할 두 번째 시간입니다. 2020.01.31 - [자녀교육&공부법] - 자녀 공부를 살리는 올바른 아빠의 역할 - 공부 잘하는 아이 만들기 #1 자녀 공부를 살리는 올바른 아빠의 역할 - 공부 잘하는 아이 만들기 #1 안녕하세요~ 여러분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굿메신저입니다. 오늘은 우리 자녀 공부의 성패를 가르는 아빠의 역할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 혹시 자녀의 공부 때문에 고민하고 있는 아빠 40fromnowon.tistory.com 아이가 공부하기 위해서, 공부하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는 아빠가 반드시 기억하고 해 줘야 될 것들이 두 가지가 있는데요. 먼저 말씀드릴 내용은 많은 아빠가 잘 모르고 흔히 .. 2020. 2. 4.
자녀 공부를 살리는 올바른 아빠의 역할 - 공부 잘하는 아이 만들기 #1 안녕하세요~ 여러분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굿메신저입니다. 오늘은 우리 자녀 공부의 성패를 가르는 아빠의 역할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 혹시 자녀의 공부 때문에 고민하고 있는 아빠들 계신가요? 혹은 아이와 어렸을 때는 사이가 좋았는데 자라면서 점점 갈등을 겪고 있는 아빠들 계시나요? 예비 아빠로서 좋은 아빠가 되고 싶은 분 계신지요? 이런 분들에게는 분명히 도움이 될 내용인데요. 저는 '내 아이의 공부를 살리는 아빠 마음습관' 이 책을 통해서 저도 초등학교 6학년, 5학년 두 아이의 아빠로서 함께 고민하고 공감하면서 앞서 드린 질문에 대한 답을 드리고자 합니다. 이 책의 저자는 족집게 대치동 입시 전문가였는데요. 지금은 부모 교육 전문가로 전업한 상태입니다. 왜 전업했냐면 수많은 학생들의 공부 상담을.. 2020. 1. 31.
세계적인 기억술 전문가가 추천하는 1분 쓰기 1분 맵핑 공부법 - 뇌에 맡기는 공부법 2부 안녕하세요~ 여러분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굿메신저입니다. 오늘은 기억술의 대가가 알려주는 공부방법 두 번째 시간입니다. 우리가 공부한 내용을 오랫동안 기억하기 위해서는 같은 내용을 여러 번 머리속에 집어넣는 입력 작업이 필요합니다. 지난번에는 이 입력하는 일명 3사이클 반복 속습법, 쉽게, 3번 빨리 공부법을 소개했습니다. 2020.01.19 - [자녀교육&공부법] - 세계적인 기억술 전문가가 추천하는 3번 빨리 공부법 - 뇌에 맡기는 공부법 1부 세계적인 기억술 전문가가 추천하는 3번 빨리 공부법 - 뇌에 맡기는 공부법 1부 안녕하세요~ 여러분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굿메신저 입니다. 오늘은 세계적인 기억술의 대가가 알려주는 공부 테크닉 하나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공부의 기본은 공부한 내용을 얼마나 40f.. 2020. 1. 21.
세계적인 기억술 전문가가 추천하는 3번 빨리 공부법 - 뇌에 맡기는 공부법 1부 안녕하세요~ 여러분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굿메신저 입니다. 오늘은 세계적인 기억술의 대가가 알려주는 공부 테크닉 하나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공부의 기본은 공부한 내용을 얼마나 많이 정확하게 기억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시험 볼 때는 두 말 할 것도 없고 공부한 내용을 우리가 써 먹을 때가 있잖아요. 그럴 때도 그 공부한 내용을 기억해야 소용이 있지요. 우리의 뇌는 같은 정보를 여러 번 반복해서 봤을 때, '아~ 이 정보는 이렇게 자주 입력되는 거 보니까 중요한 거 보구나' 하고 장기 기억에 넘기게 됩니다. 여기서 입력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입력한 것을 머리 밖으로 끄집어내는 출력인데요. 입력한 내용을 자주 출력했을 때 우리의 뇌는 '아~ 이 내용은 이렇게 자주 출력하는 거 보니까 정말 중요한 것이구나' .. 2020. 1. 19.
아이큐, 공부 잘하는 것을 극복하는 대기만성 자녀의 특징 안녕하세요~ 여러분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굿메신저 입니다. 오늘은 우리 자녀들이 공부 잘 하고 앞으로 돈을 많이 버는 데 아주 중요한 비인지 능력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인지능력은 아이큐, 학습능력을 말하는데요. 똑똑함, 공부 잘하는 정도입니다. 인지능력은 그리 길지 않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창 시절에 우리가 했던 것들 지금 보면 가물가물하고 잘 못 풀겠지요? 바로 이 인지능력의 특성 때문에 그렇습니다. 비인지 능력은 자제력, 끈기, 근면, 성실, 친절 등 이런 것들인데요. 인지능력과는 다르게 한번 몸에 베면 길게 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말에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은 과학적으로도 타당한 말입니다. 그러면 비인지능력이 왜 중요할까요? 조사 결과 비인지능력이 높으면 아.. 2020.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