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뷔페/유용한 정보 254

아침에 잠 깨려고 찬물로 샤워하면 안되는 이유 여러분의 아침은 어떤가요? 겨우 일어났지만 쉽사리 잠이 깨지 않아 비몽사몽 상태가 오래가는 경험 종종 하실 텐데요. 아침에 잠을 깨려는 목적으로 찬물로 샤워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납니다. 인체의 생리기능을 담당하는 신경이 있습니다. 바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인데요. 잠을 깨려면 교감신경을 활발하게 해야 합니다. 그런데 찬물로 샤워하면 잠을 유도하는 부교감 신경이 활발하게 됩니다. 즉 찬물로 샤워하는 순간엔 정신이 번쩍 드는 것 같지만 조금만 시간이 지나면 더 졸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아침에 잠을 깨려면 찬물로 샤워하지 말고 미지근하거나 약간 따뜻한 물로 샤워하셔야 잠을 깨는데 도움이 된답니다. 2022. 6. 2.
구찌(Gucci) 핸드백이 천으로 만들어진 까닭은? 대표적인 명품 브랜드 구찌(Gucci). 명품 브랜드 중에 '구찌(Gucci)' 하면 떠오르는 게 바로 가방입니다. 구찌(Gucci)는 천으로 핸드백을 만드는 것으로 유명한데요. 구찌는 처음부터 천으로 핸드백을 만든 걸까요? 혹시 천으로 만들 수밖에 없는 사연이 있는 걸까요? 구찌는 1906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마구(말과 관련된 기구)를 생산하는 회사였지요. 그런데 자동차가 점점 대중화되면서 말의 수요가 줄어들어 회사가 어려워집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마구 대신 가방을 포함한 가죽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는데요.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핸드백과 구두 제작에 필요한 가죽을 구하기가 매우 어려워졌습니다. 그래서 고심 끝에 구찌는 캔버스 천으로 만든 가방을 만들게 됐지요. 생각지.. 2022. 6. 1.
비누가 거기서 거기라고요? - 비누의 종류와 올바른 사용법 비누는 가장 대표적인 세안 용품입니다. 종류도 많아서 빨래 비누부터 미용, 피부 치료까지 매우 다양한 용도로 쓰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비누가 있는데 그냥 막 써도 될까요? 예를 들어 목욕비누와 화장비누를 혼용해서 써도 괜찮은 걸까요? 써도 되지만 두 제품은 만들어진 용도와 성분이 달라서 구분해서 쓰는 것이 좋습니다. 목욕비누는 물에 금방 녹는 것을 방지하도록 입자가 거칠게 만들어 집니다. 입자가 거칠면 물을 잘 흡수하지 못하게 됩니다. 반면에 화장비누(세안비누)는 입자를 작게 만들어 물에 잘 녹고 거품과 향이 풍성합니다. 또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중성으로 제작됩니다. 여드름 치료 비누는 어떨까요? 이 비누는 소염과 살균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일반 비누보다 강하겠지요. 이렇듯 비.. 2022. 6. 1.
뽑아 쓰는 티슈는 변기에 버리면 안 되는 이유 요새 점점 휴지통 없는 화장실이 늘고 있습니다. 위생상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변이 묻은 휴지를 따로 처리해야 하는 등 번거롭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용변 후 휴지를 변기에 넣고 물을 내리는 일이 많아졌는데요. 물티슈나 여성 용품을 변기에 넣으면 안 되는 사실은 잘 알고 계시지요? 그러면 뽑아 쓰는 티슈(곽에 든 휴지)는 어떨까요? 티슈 역시 다른 금기 물품처럼 변기에 넣으면 안됩니다. 언뜻 봤을 때 두루마리 화장지나 티슈는 별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그런데 티슈는 물에 쉽게 녹지 않도록 특수 약품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또한 일반 두루마리 휴지보다 잘 안 찢어지도록 튼튼하게(?)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티슈를 변기에 버리면 변기가 고장 날 수 있으니 변기에 넣을 때는 꼭 두루마리 휴지를 이용하시.. 2022. 5. 31.
이불에 있는 먼지 털 때 두드리면 안 되는 이유 햇빛이 잘드는 날 창문을 열고 이불을 두드려서 먼지 터는 걸 종종 목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두드려서 이불의 먼지를 털면 안되는 이유가 있습니다. 이불을 털면 털수록 나오는 건 먼지가 아니라 작은 이불 섬유 조각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말린 이불을 거둘 때나 그냥 먼지를 털때는 강하게 두드려서 털지 마시고 가볍게 살짝 터시는 걸 추천합니다. 그리고 햇볕이 좋다고 오랫동안 말리면 이불솜이 상하거나 이불 커버 색이 자외선 때문에 변색될 수 있으니 3시간을 넘기지 마시기 바랍니다. 2022.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