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성장/공부법 61 꼼수공부법과 함께 하면 좋은 공부팁 - 독학으로 자격증 따기 우리는 흔히 자격증을 위해 공부한다면 학원이나 인강을 먼저 생각하지요. 그리고 참고서, 문제집, 기출문제집을 구입해서 참고서를 먼저 공부한 후 문제집을 풀고 기출문제로 마무리합니다. 참고서는 출판사에서 적중률을 높이기 위해 많은 내용을 담다 보니 그 양이 너무 많아집니다. 그래서 참고서를 다 공부하려면 시간이 많이 필요하지요. 또한 공부를 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까지 하게 되므로 시간 낭비가 심하게 되지요. 꼼수 공부법이 기존 공부법과 다른 점은 공부하는 순서와 기출문제집과 문제집을 보는 방법에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1. 기존의 공부법인, 참고서-문제집-기출문제 푸는 순서를 바꿔서 기출문제 -> 문제집 -> 필요한 부분만 참고서 공부. 2. 정답 먼저 확인하고 문제를 보고, 이것을 열 번 정도 반.. 2019. 9. 4. 아이큐 IQ 높은 영재를 뛰어 넘을 수 있는 능력. 성공 지능 지수를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여러분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굿메신저입니다. 여러분의 아이큐는 얼마입니까? 한번쯤 아이큐가 높아서 좀 똑똑했으면 좋겠다 생각해 본 적 없나요? 아이들이 있는 학부형이라면 우리 아이들이 아이큐가 좀 높아서 영재였으면 좋겠다 생각해 보신적 없으신가요? 1985년 우리나라에서 입학하기 전 아이들을 대상으로 영재 발굴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영재 테스트와 아이큐 테스트를 통해서 144명의 영재들을 추려냈는데요. 이 아이들 중에는 생후 9개월 만에 말을 한 아이도 있었고 3살무렵에 영어와 한문을 줄줄 읽어서 주변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했던 아이들이 대부분이였습니다. 15년이 지난 2000년 초반, 어느 언론사에서 이 아이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추적을 했습니다. 144명의 아이들 중 .. 2019. 8. 15.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집중력 올리는 방법 안녕하세요~ 여러분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굿메신저입니다. 오늘은 집중, 집중력에 대해서 말씀드릴건데요. 집중하면 흔히들, 학생들이 공부할 때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요. 의외로 집중은 많은 곳에서 필요로 합니다. 놀때는 어떨까요? 그냥 놀때보다 집중해서 놀때 훨씬 더 재미있겠지요? 음식을 먹을때는 또 어떨까요? 흔히들 음식을 먹을때 허겁지겁 먹게되면, 정신없이 먹게되면 밥이 입으로 들어갔는지 콧구멍으로 들어갔는지 모르겠다고 하잖아요. 음식의 그 맛과 먹는 즐거움을 느끼려면 집중이 필요합니다.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할 때, 경청할 때에도 집중은 필요합니다. 중요한 사람과 만남이나 자리에서 상대방의 이야기를 집중해서 들을 필요가 있겠지요. 그때도 집중이 필요합니다. 독서, 음악감상, 영화 볼 때도 집중하게 되면.. 2019. 7. 27. 가족사진, cctv, 지켜보는 눈, 사장님이 보고 있다, 엄마가 보고 있다, 남의 시선의 힘. 안녕하세요~ 여러분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굿메신저입니다. 오늘은 사람의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내는데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준비했습니다. 제가 단독주택에 살고 있었을 때 일입니다. 어느날부터 대문옆에 쓰레기를 담은 검은 봉지가 놓여져 있었습니다.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정해진 쓰레기 봉투를 쓰지 않으면 쓰레기 수거를 해가지 않잖아요. 어쩔수없이 쓰레기 봉투에다가 그 검정 쓰레기 봉투를 담아서 처리를 했는데요. 이런일이 계속되자 좀 스트레스가 쌓이기 시작했습니다. 옆집에 사는 사람들도 고운 눈으로 보이지 않았구요. 고심끝에 모형감시카메라를 달고 그 밑에 이런 문구를 썼습니다. '쓰레기를 무단 투기하는 당신의 모습이 잘 보이네요.' 이렇게 써 붙이고 난 이후부터는 무단 쓰레기 투척이 없어졌습니다... 2019. 6. 28. 아이가 명문대, 대기업에 못 가도 성공하고 행복할 수 있는 이유 - 그릿(grit)의 힘 저와 여러분은 우리 아이들에게 좋은 것 먹이고 좋은 곳에 데려가고 좋은 교육을 시킵니다. 왜냐하면 우리 아이들이 잘되고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 공부잘해서 명문대가고, 졸업후에는 공기업, 대기업에 취업하기 바라지요. 하지만 안타깝게도 모든 아이들이 공부를 잘하지 못하지요. 남들이 부러워 할 만한 대학, 회사에 모두 들어갈 수도 없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자녀를 키워야 할까요? 정답은 바로 그릿(grit)에 있습니다. 그릿(grit)은 '어려운 상황에서 좌절을 이겨내고 계속 도전하는 힘' 인데요. 그릿(grit)이 높은 학생들은 눈에 띄게 학업성취도, 자존감, 행복지수가 높습니다. 그릿(grit)이 높은 성인들은 속한 단체에서 더 좋은 성과를 냅니다. 그릿이 높은 선생님들이 맞은 반은 다른 반.. 2019. 6. 11. 이전 1 ··· 8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