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뷔페/유용한 정보 254

반전이 있는 에티켓의 재미있는 유래 오늘날 에티켓(etiquette)은 예의, 예절이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에티켓(etiquette)이 처음부터 예의나 예절이라는 의미로 쓰인 게 아니라고 합니다. 에티켓은 엉뚱하게 들리겠지만 처음 쓰일 때는 화장실과 관련된 단어라고 합니다. 에티켓(etiquette) 단어의 기원은 프랑스 루이 14세 시절로 추정되는데요. 루이 14세가 거주한 베르사유 궁전은 놀랍게도 화장실이 없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 당시에는 왕을 비롯한 궁전에서 지내는 사람들은 자기만의 전용 변기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화장실이 따로 없었습니다. 전용 변기를 가진 사람들이야 용변을 보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지만 전용 변기가 없는 사람들은 아주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화장실도 없고 전용 변기도 없는 사람들.. 2022. 10. 31.
건강을 위해서도 긍정적인 생각을 해야 하는 이유 긍정적인 사고에 관한 아주 유명한 예화가 있습니다. 물병에 물이 반쯤 남았을 때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사람과 부정적으로 사고하는 사람의 반응이 다르다는 것이지요. "물이 반이나 남았네" "물이 반밖에 안 남았네" 그런데 긍정적인 사고나 생각이 건강에도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 아시나요?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긍정적인 사고를 하면 우리 몸의 면역력이 올라간다고 합니다. 인간의 몸에는 면역력과 주요한 관계가 있는 기관인 림프구가 있습니다. 림프구에는 NK 세포가 있는데요. 장수와 관련된 세포입니다. NK 세포가 장수와 관련된 이유는 매일 3,000개 정도 발생하는 암세포를 찾아서 없애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나이 들면 가장 무서운 질병 중에 하나가 암인데 이를 예방하는 역할을 하니 장수와 관련된 세포가.. 2022. 10. 29.
처음 온 장소인데 왠지 낯설지 않게 느끼는 까닭은? 우리는 가끔씩 처음 온 낯선 장소인데 왠지 와본 적 있는 느낌을 받곤 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기시 현상(데자뷔)이라고 하는데요. 기시 현상은 장소뿐만 아니라 사물이나 물건에 대해서도 낯설지 않게 느낄 수 있습니다. 뇌과학자들에 따르면 기시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뇌의 피로라고 합니다. 뇌가 피곤할 때 무의식 속에 있는 어릴 적 체험했던 기억이나 광경이 떠올라 현재 보고 있는 공간이나 사물, 물건과 겹쳐지면서 기시현상이 나타난다고 하지요. 기시 현상은 여행을 가면 몸과 뇌의 피로를 못 느낄 뿐이지 피로가 쉽게 쌓일 수 있기 때문에 여행지에서 쉽게 경험하게 된답니다. 2022. 10. 25.
긴장하면 식은땀이 나는 이유 많은 분들이 땀은 우리 몸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배출된다는 것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땀은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땀외에 또 다른 종류의 땀이 있습니다. 바로 긴장이나 감정 변화할 때 나오는 일명 정신성 발한이 있습니다. 체온 조절을 위해 나오는 땀은 온열성 발한이라고 하는데요. 온열성 발한은 주로 얼굴, 목, 등 쪽에 많습니다. 반면에 정신성 발한은 손발바닥, 겨드랑이 아래에 많이 분포합니다. 긴장했을 때 '손에 땀을 쥔다'는 표현은 정신성 발한을 가리키는 말이지요. 정신성 발한의 또 다른 특징은 체온 배출이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온열성 발한에 비해 배출되는 땀의 양이 적다는 것입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거짓말 탐지기는 정신성 발한으로 검사 대상의 손바닥에 배출되는 땀으로 인해 전기 저항.. 2022. 10. 20.
하트(heart)가 사랑을 상징하게 된 유래 오늘날 하트(heart)는 동서양을 구분하지 않고 사랑을 나타내는 상징입니다. 그런데 하트(heart)는 처음부터 사랑을 상장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하트(heart)는 본래 기독교에서 포도주를 담는 성배(성스러운 그룻)를 가리켰는데요. 기독교에서 포도주는 예수 그리스도의 피를 상징합니다. 그런데 프랑스어 cœur(퀘르:심장) 이란 단어에서 유래된 영어의 heart가 영향을 받아 처음 의미에서 벗어나 좀 더 확장됩니다. 즉 성배의 의미에서 벗어나 뜨거운 피를 담는 그릇인 심장은 또한 사랑을 담는 그릇으로 여겨지게 되었습니다. 정확한 시작은 알 수 없으나 이런 이유로 하트(heart)는 사랑을 나타내는 상징이 되었답니다. 2022.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