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성장 176 말투하나 바꿨을 뿐인데... 말투의 중요성 - 인간관계 망치는 말투 이번 시간에는 원만한 대인관계와 부드러운 대화를 위해 고쳐야 할 말투, 말버릇 세 가지를 준비했습니다. 여러분 중에 나는 그런 의도로 얘기한 게 아닌데 얘기하다 보면 상대방이 언짢아하거나 말다툼으로 빠지는 경험을 많이 하셨다면, 이번 시간에 말씀드릴 말투나 말버릇이 본인에게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원만한 대인 관계와 다툼을 막기 위해 꼭 고쳐야 할 말투와 말버릇 첫 번째는 'but' 종류- '근데', '하지만'입니다. 상대방이 무슨 말을 했을 때 '그래 그 말도 일리가 있네. 근데~' 이렇게 여러분이 말하는 순간, 상대방은 자기의 말이나 의견이 부정되고 무시됐기 때문에 여러분의 말이 바로 귀에 거슬리면서 어떤 저항을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but' 종류의 말보다는 'and' 류의 '그리고, 그.. 2020. 1. 28. 세계적인 기억술 전문가가 추천하는 1분 쓰기 1분 맵핑 공부법 - 뇌에 맡기는 공부법 2부 안녕하세요~ 여러분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굿메신저입니다. 오늘은 기억술의 대가가 알려주는 공부방법 두 번째 시간입니다. 우리가 공부한 내용을 오랫동안 기억하기 위해서는 같은 내용을 여러 번 머리속에 집어넣는 입력 작업이 필요합니다. 지난번에는 이 입력하는 일명 3사이클 반복 속습법, 쉽게, 3번 빨리 공부법을 소개했습니다. 2020.01.19 - [자녀교육&공부법] - 세계적인 기억술 전문가가 추천하는 3번 빨리 공부법 - 뇌에 맡기는 공부법 1부 세계적인 기억술 전문가가 추천하는 3번 빨리 공부법 - 뇌에 맡기는 공부법 1부 안녕하세요~ 여러분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굿메신저 입니다. 오늘은 세계적인 기억술의 대가가 알려주는 공부 테크닉 하나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공부의 기본은 공부한 내용을 얼마나 40f.. 2020. 1. 21. 세계적인 기억술 전문가가 추천하는 3번 빨리 공부법 - 뇌에 맡기는 공부법 1부 안녕하세요~ 여러분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굿메신저 입니다. 오늘은 세계적인 기억술의 대가가 알려주는 공부 테크닉 하나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공부의 기본은 공부한 내용을 얼마나 많이 정확하게 기억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시험 볼 때는 두 말 할 것도 없고 공부한 내용을 우리가 써 먹을 때가 있잖아요. 그럴 때도 그 공부한 내용을 기억해야 소용이 있지요. 우리의 뇌는 같은 정보를 여러 번 반복해서 봤을 때, '아~ 이 정보는 이렇게 자주 입력되는 거 보니까 중요한 거 보구나' 하고 장기 기억에 넘기게 됩니다. 여기서 입력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입력한 것을 머리 밖으로 끄집어내는 출력인데요. 입력한 내용을 자주 출력했을 때 우리의 뇌는 '아~ 이 내용은 이렇게 자주 출력하는 거 보니까 정말 중요한 것이구나' .. 2020. 1. 19. 못된 사람 상대하는 방법 - 호구 탈출 이번 시간에는 못 된 사람 상대하는 방법을 준비했습니다. 못 된 사람이란 남의 시간, 감정, 돈 등을 지속적으로 의도적으로 치밀하게 악용하는 사람입니다. 못 된 사람이 못 된 행동을 하는 이유는 첫 번째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열등감 때문입니다. 못된 사람은 자신의 열등감을 숨기기 위해 다른 사람을 자기보다 더 열등한 존재로 보고 못 된 짓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 번째는 못된 짓을 하고도 부정적인 결과와 손해를 본 경험이 없기 때문입니다. 주변에 못 된 행동을 받아 주는 배려하는 사람들 때문에 '아 이렇게 해도 되는구나' 하고 계속 못 된 행동을 하는 것이지요. 세 번째는 어린 시절 부모님이 아이가 떼쓰면 다 들어 주면서 키운 잘못된 육아 방식 때문입니다. 이런 육아 방식으로 자란 아이는 '세상은 나를.. 2020. 1. 15. 아이큐, 공부 잘하는 것을 극복하는 대기만성 자녀의 특징 안녕하세요~ 여러분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굿메신저 입니다. 오늘은 우리 자녀들이 공부 잘 하고 앞으로 돈을 많이 버는 데 아주 중요한 비인지 능력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인지능력은 아이큐, 학습능력을 말하는데요. 똑똑함, 공부 잘하는 정도입니다. 인지능력은 그리 길지 않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창 시절에 우리가 했던 것들 지금 보면 가물가물하고 잘 못 풀겠지요? 바로 이 인지능력의 특성 때문에 그렇습니다. 비인지 능력은 자제력, 끈기, 근면, 성실, 친절 등 이런 것들인데요. 인지능력과는 다르게 한번 몸에 베면 길게 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말에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은 과학적으로도 타당한 말입니다. 그러면 비인지능력이 왜 중요할까요? 조사 결과 비인지능력이 높으면 아.. 2020. 1. 10.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36 다음